[신경북뉴스] 대구 달서구가 올해로 평생학습도시 지정 20주년을 맞았다.
2005년 대구 최초로 지정된 이후, 달서구는 지난 20년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학습도시로 성장하며 이제 세계가 주목하는 글로벌 학습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달서구는 △전 생애를 아우르는 학습 인프라 △소외 없는 포용적 기회 △주민 주도의 학습문화 확산 △지속가능한 지역 학습체계 정착을 네 가지 축으로 삼아 성과를 쌓아왔다.
이러한 노력은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벤치마킹하는 모범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지역 최대 규모의 평생학습관과 중장년 전문교육기관인 50플러스센터를 중심으로, 6개 구립도서관·대학·복지관을 생활 속 배움터로 연결해 전 세대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이어지는 학습의 장은 세대와 계층을 잇는 ‘평생학습도시 달서’의 표준을 제시했다.
또한 2021년 대구 최초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된 이후 맞춤·통합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대구직업능력개발원과 협력해 직업능력 향상 교육을 추진, 교육부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특성화 지원사업’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외국인 지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대구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는 지역 특성을 반영해 실용 한국어 교육을 운영하고, 성서공동체FM과 협력해 교육 사각지대를 해소했다.
이로써 달서구는 다문화·다민족이 함께 배우는 포용의 학습도시로 자리매김했다.
주민 참여 열기도 뜨겁다.
2006년 시작된 평생학습동아리는 생활 속 학습 문화로 정착했고, 주민 주도의 희망학습마을은 지역 곳곳에 뿌리내렸다.
주민이 직접 강사가 되어 강의를 열고, 교육을 마친 이들이 마을정원을 가꾸며 나눔을 실천하는 등‘배움의 선순환’이 일상 속에 정착하고 있다.
이제 달서구의 시선은 세계다.
국제교육도시연합(IAEC) 회원으로서 아시아·태평양 네트워크의 중심을 맡고 있으며,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시티넷(CityNet), 유엔협회세계연맹(WFUNA)과의 협력도 강화해왔다.
오는 9월 달서구에서 열리는 IAEC 아시아·태평양 지역회의는 달서구의 국제적 위상을 보여줄 상징적인 무대가 될 전망이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달서구의 20년 평생학습 역사는 대한민국 학습정책의 중요한 이정표이자 새로운 20년을 향한 출발점”이라며, “배움을 통해 주민 모두가 성장하고 달서구가 세계 속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평생학습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