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북뉴스] 대구시의회 하중환 의원(달성군1)은 8월 28일, 서면 시정질문을 통해 최근 잇따른 아파트 화재로 어린이들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노후 공동주택의 화재 안전 보강과 야간·24시간 아이돌봄체계 확대를 위한 종합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하 의원은 “지난 6월과 7월, 부산 지역 아파트에서 맞벌이 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어린 자매들이 잇따라 화재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며, “이처럼 돌봄 공백과 노후 공동주택의 안전 사각이 결합된 사고는 대구에서도 충분히 반복될 수 있는 만큼, 대구시도 건축허가일 기준 20년 이상 경과한 스프링클러 미설치 아파트에 대해 실효성 있는 화재안전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대구시 내 공동주택 1,782개 단지 중 74.1%에 해당하는 1,320곳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어, 하 의원은 “화재 시 옥상 대피를 위한 자동개폐장치 등 피난시설 설치와 유지·보수에 대한 조례 개정이 이뤄졌지만, 실제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조속히 제시해야 한다”며, 비상문자동개폐장치 및 옥상피난설비 등 안전시설에 대한 재정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또한, “최근 3년간 아동 안전사고의 43%가 집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28.1%는 하루 1시간 이상 혼자 지낸다”고 언급하며, “야간과 24시간 돌봄 인프라 없이 아동의 안전을 확보하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구시의 야간연장 어린이집은 전체 993개소 중 190개소(19%)에 불과하며, 24시간 운영 어린이집은 단 5개소뿐이다.
이에, 하중환 의원은 “부산시가 추진 중인 ‘아동돌봄 AI 통합콜센터’와 같은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대구시교육청이 운영 중인 ‘엄마품 돌봄 유치원’ 140개소와 인근 유치원·어린이집 등과의 협력체계를 연계해 통합돌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사건이 터질 때마다 임시방편에 그치는 대응이 아니라, 근본적인 예방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지방정부의 책무”라며, “노후 공동주택의 화재 예방과 아이돌봄 공백 해소는 선택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