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북뉴스] 포항시는 6일 지역 주력 산업인 철강·금속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철강·금속 디지털전환(DX) 실증센터 구축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사업은 2028년까지 총 220억 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지역 철강·금속 제조공정에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스마트 제조 혁신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포항시는 올해 ‘2025 철강·금속 DX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7개 기업에 맞춤형 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지원했다.
솔루션 활용 지원에는 ㈜신화테크, ㈜신천, ㈜기산, ㈜건우금속 등 4개사, 신규 솔루션 개발에는 ㈜제일테크노스, 제일연마공업㈜, ㈜세아특수강 등 3개사가 참여했다.
이들 기업은 실증센터에서 개발된 DX 솔루션(압연, 프레스, 용접, 표면처리, 주조 등)을 활용해 공정 데이터 분석과 AI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 결과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에너지 절감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뒀다.
일부 기업에서는 AI 기반 공정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불량률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인력 투입 효율도 크게 개선됐다.
이와 같은 성과는 향후 철강·금속 산업 전반으로 확산돼 지역 기업들의 DX 추진 모델로 정착될 전망이다.
포항시는 실증센터 운영과 병행해, 철강·금속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DX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포항시는 실증센터 운영과 병행해, 철강·금속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DX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현재 약 200명의 재직자가 교육에 참여해 디지털 기술 이해도와 활용 역량을 높이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장 중심의 산업 혁신 역량이 강화되고 있다.
포항시는 향후 이 프로그램을 확대해 AI 활용 분석, 디지털 트윈 기반 공정관리, 스마트팩토리 운영 등 첨단 제조기술 교육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철강·금속 DX 실증센터’는 포항의 전통 주력산업인 철강과 금속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 에너지 효율 향상, 공정 최적화, 친환경 제조혁신을 이끌어내는 핵심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를 통해 포항시는 단순한 기술 도입 단계를 넘어, 기업 스스로 DX를 내재화할 수 있는 ‘자생적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지원사업은 현장 실증을 통해 기업이 스스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도 철강·금속 산업의 DX 혁신이 지속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